안녕하세요! 와, 요즘 정치판 돌아가는 거 보면 정말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아요.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소식들에 정신이 하나도 없네요!
얼마 전에 정말 눈이 번쩍 뜨이는 뉴스가 있었죠? 바로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섰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지지자들 중 일부가, 놀랍게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는 소식이에요! ‘홍준표와 함께한 사람들’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던 ‘홍사모’, ‘홍사랑’, ‘국민통합찐홍’, 심지어 ‘홍준표 캠프 SNS팀’까지 포함된 분들이 13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밝혔다고 해요. 이 자리에는 이들의 지지 선언에 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이언주 민주당 최고위원과 황명선 조직사무부총장도 참석했다고 하니, 민주당 측에서도 꽤나 반기는 분위기였던 것 같아요.
이분들이 밝힌 지지 선언의 이유는 정말 파격적이었어요. 기자회견문에서 “국민의힘이 보여준 단일화 파행은 그간 대한민국의 앞날을 걱정해 보수 정당을 지지해온 수많은 유권자 마음에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고 하면서, “국민의힘은 더 이상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보수정당으로 불릴 자격이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대요. 뼈아픈 지적이죠. 그러면서 홍 전 시장이 평소 꿈꿔왔던 보수와 진보가 공존하는 ‘통합’의 나라를 실현하고, 분열을 넘어 통합으로 나아가는 대전환의 길목에서 대한민국을 선진대국으로 이끌 정치인이 바로 이재명 후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는군요. ‘국민통합찐홍’의 김남국 회장은 한술 더 떠 “저희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중도·보수 유권자들도 그쪽(윤석열 전 대통령) 언어로 ‘계몽’되셔서 진심이 전달되어 이 후보 지지로 옮겨오기를 희망한다”고까지 말했다니, 이분들의 결심이 얼마나 확고한지 느껴지는 대목이에요. 김 회장은 심지어 “헌법재판소에서 탄핵된 전 대통령이 아직 영향력을 미치는 그 당이 정상적인 당인가”라며 국민의힘에 대한 날 선 비판도 서슴지 않았다고 해요.
사실 홍 전 시장의 ‘경제 책사’로 알려졌던 이병태 카이스트 명예교수도 이재명 후보 선대위에 합류한다는 발표가 하루 전에 있었는데, ‘친일은 정상’, ‘세월호 참사 추모는 천박함의 상징’ 같은 과거 발언들이 다시 논란이 되면서 결국 이날 기자회견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고, 선대위 합류 여부도 불투명해진 상태라고 해요. 이 부분은 앞으로 어떻게 정리될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은 홍준표 전 시장을 향해 다급하게 메시지를 보냈어요. 자신의 SNS에 “노파심에 드리는 말”이라며, “이재명의 사탕발림에 결코 흔들리시면 안 된다”, “혹여 1%라도 이재명 후보와의 협력 가능성을 고려하고 계신다 해도 절대 손을 잡아선 안 된다”고 간곡히 호소했죠. 안 의원은 홍 전 시장 지지층 일부가 이 후보를 지지하거나 측근 인사들이 이재명 캠프로 합류하는 흐름을 “단호히 제지해주셔야 한다”고까지 요청했어요. 안 의원이 느끼기에도 뭔가 ‘쎄한 촉’이 왔던 걸까요? 정치적 스탠스 변화 가능성까지 언급한 걸 보면 보통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게 아닌 듯해요.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이재명 후보가 홍 전 시장에게 “낭만의 정치인 홍준표를 기억한다”, “좌우 통합정부 등은 꼭 필요한 정책이고 돌아오시면 막걸리 한 잔 나누자”라며 꾸준히 손짓을 보내왔던 것도 한몫했을 거예요. 서로 다른 정치적 지향점을 가진 두 인물 간의 이런 미묘한 기류가 이번 지지 선언으로 더욱 주목받게 된 셈이죠.
물론 홍준표 전 시장 경선 캠프 쪽에서는 이번 지지 선언에 대해 “지지자 일부의 개별 행동으로 봐달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입장을 보였다고 합니다.
정말이지 정치의 세계는 한순간도 예측하기 어려운 것 같아요. 오랜 시간 보수 진영을 지지했던 분들이 ‘국민의힘은 보수가 아니다’라며 등을 돌리고, 오히려 진보 진영의 후보에게서 ‘통합’의 가능성을 찾는 모습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네요. 과연 이분들이 말하는 ‘진정한 보수’는 무엇이고, ‘통합’의 모습은 어떠해야 할까요? 이번 일이 앞으로의 대선 구도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아니면 그저 찻잔 속 태풍으로 그칠지, 정말 흥미진진하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여러분은 이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답글 남기기